[게임업계의 M&A 바람](중)해외 instance(사례)로 본 성공조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5:09
본문
Download : 080618121921_.jpg
최근 국내 게임 업계에서 일어난 M&A를 살펴보면 이와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작년 12월 3일 세계 게임 업계를 뒤흔든 사건이 일어났다.
레포트 > 기타
순서
이와 함께 꾸준한 M&A strategy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아 세계 게임 업계의 양강 중 하나인 EA는 지난 82년 설립 후 10년이 지난 91년부터 본격적인 M&A strategy을 펼치기 스타트했다.
다. 게임 시장에서 더 이상 플랫폼이나 장르의 구분은 무의미하며 대형 업체끼리 힘을 합쳐 더 큰 시너지 효과(效果)를 노린다는 사실이다. 비벤디는 새로운 법인 액티비전블리자드를 만든다고 밝혔는데 그 매출 규모는 2007년 말 기준으로 38억달러에 달했다. 최근 발표된 한국의 핸즈온모바일 인수까지 EA는 무려 21건의 M&A를 성사시켰다.
Download : 080618121921_.jpg( 51 )
세계 게임 산업에서 독주하던 EA를 능가하는 공룡 기업의 탄생은 시장 질서 재편의 서곡이었다. 액티비전블리자드의 등장이 국내 게임 업계에 시사하는 바는 명료하다. 그 결과 EA는 4조 원에 가까운 매출을 올리며 비디오게임에서 PC패키지, online, 모바일을 망라한 게임 왕국을 만들었다. 비디오게임 업체와 online게임 업체가 서로를 소 닭 보듯 하던 시대를 지나 의욕적으로 힘을 합치기 스타트하면서 더 이상 분야의 구분이 없는 무한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게임업계의 M&A 바람](중)해외 instance(사례)로 본 성공조건
이 때문에 게임 업게에서는 보다 크고 우량한 게임 업체들 간의 M&A가 필요하다는 分析(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아 반면 게임 업계 양강인 엔씨소프트와 넥슨, 그 뒤를 쫓는 CJ인터넷(Internet)이나 네오위즈게임즈 등 선도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M&A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아
[게임업계의 M&A 바람](중)해외 사례로 본 성공조건
설명





위 교수는 “가장 높은 M&A 효과(效果)는 현재 국내 게임 업계의 선두를 달리는 우량 기업 간의 빅딜에서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블리자드의 모회사인 비벤디가 액티비전을 98억 달러에 인수합병(M&A)한다는 발표였다.
장동준기자 djjang@
이에 대해 김택진 엔씨소프트 사장은 “액티비전과 블리자드의 합병은 게임 산업이 본격적인 글로벌 경쟁에 돌입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라며 “공룡 기업의 등장은 국내 online게임 업체의 해외 시장 진출에 긍정적 효과(效果)를 가져오지는 않을 展望”이라고 내다봤다. 한 마디로 가장 강한 자들이 모여 최고의 시장 지배력을 노리는 셈이다.
[게임업계의 M&A 바람](중)해외 instance(사례)로 본 성공조건
[게임업계의 M&A 바람](중)해외 사례로 본 성공조건
예를 들어 엔씨소프트는 분기 실적 발표 때마다 컨퍼런스콜을 통해 “수천 억대의 자금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M&A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정작 이렇다할 결과물은 없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티쓰리엔터테인먼트의 한빛소프트 인수는 이제 막 성공한 개발사가 노쇠한 퍼블리셔를 흡수한 事例(사례)고 NHN의 웹젠 대주주 등극은 거대 자본을 축적한 퍼블리셔가 궁지에 몰린 개발사를 사는 양상”이라고 說明(설명)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