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07:04
본문
Download : 수동문화.hwp
헌데 여기서 우리는 첫…(투비컨티뉴드 )






수동문화
수동문화완결판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라) 이동된 논리적 주어 앞에 by가 붙는다.
제 2 절 본 론
1. 능동문과 수동문의 형태
우선 능동문과 수동문의 패턴을 살펴보자.
1) active : [s [NP 1] [VP V [NP 2]]]
passive :[s [NP 2] [VP be V-ed [PP by [NP 1]]]]
예를 들어보자.
2) a. [s [NP1 The waiter] [VP served [NP2 the cake]]]
b. [s [NP2 The cake] [VP was served [PP by [NP1 the waiter]]]]
3) a. [s [NP1 The gardener] [VP takes [NP2 the newspaper] [PP to Mr. Ellis]]]
b. [s [NP2 The newspaper] [VP is taken [PP to Mr Ellis] [PP by [NP1 the gardener]]]]
위의 능동문 2)a 와 3)a 가 각각 수동문 2)b 와 3)b로 고쳐질 때 우리는 다음의 change(변화)를 알 수 있따
가) 논리적 목적어가 주어 위치에, 그리고 논리적 주어는 동사 다음에 온다.순서
Download : 수동문화.hwp( 54 )
설명
수동문화수동문화완결판 , 수동문화인문사회레포트 ,
수동문화
제 1 절 서 론
전통문법에서 뿐만 아니라 변형생성문법 표준理論(이론)(Standard theory)에서도 수동문(passive sentence)은 능동문(active sentence)에서 유도(derive)되는 것으로 보고 있따 그러나 내가 지금 배우고 있는 생성문법 과목에서는 수동문이 능동문에서 유도된다고 보지 않으며 양자가 별개의 기저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따 그래서 여기서는 먼저 능동문과 수동문의 특징을 알아보고, 전통문법과 GB理論(이론)(Government and Binding Theory)으로 도출되는 수동文化(culture) 과정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며 수동文化(culture) 를 說明(설명) 하기로 한다.
나) 조동사의 마지막 요소로 be가 나타난다.
다) 동사에 과거분사 접미사가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