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n.kr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report), 배울점, 느낀점 > bun2 | bun.kr report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report), 배울점, 느낀점 > bun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un2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report), 배울점, 느낀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23:21

본문




Download :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배울.hwp




‘傳’이란 경전에 대한 스승의 가르침을 뜻함으로 ‘傳習’이란 ‘경전에 대한 스승의 가르침을 익힌다’는 뜻을 지니고 있따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report), 배울점, 느낀점
다.
설명
첫째, “내 마음이 바로 理이다” 이것은 주자의 “事事物物에는 일정한 理가 있다”라는 명제 에 대한 반성적 작업의 결과이다. 明왕조는 유학을 官學으로 수용하고, 특히 宋學 (특히 朱子學)에 의거한 사상적 통일과 왕권의 절대화를 도모하였다.
둘째, 지행을 분리하고 지를 중시하는 先知後行論의 대안으로 “知와 行은 하나로 합한다.
순서


Download :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배울.hwp( 33 )


전습록,감상문, 배울점, 느낀점
왕양명은 明代 중엽시대의 학자이자 官僚(武官)로 활약했다.
전습록은 왕양명(1472~1529)의 어록과 그가 제자 및 당시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를 모아놓은 책으로 왕양명의 학문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책이다. 이처럼 주자학이 학계를 지배함에 따라 당대에 극성하였던 선불교는 상대적으로 쇠퇴하였다. 이 결과 유학은 출세를 위한 과거의 도구로 전락하였으며, 當爲로서의 理는 절대화 되었다. ‘傳’이란 경전에 대한 스승의 가르침을 뜻함으로 ‘傳習’이란 ‘경전에 대한 스승의 가르침을 익힌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傳習’이란 말은 <논어>의 ‘경전을 익혔는가?’에서 딴 말이다. 결국 명대의 주자학은 知的인 탐구를 버린 안이한 실천주의로 흘렀으며, 理의 절대화에 따라서 敎條主義로 change(변화)하였다.





넷째, “천지만물은 한 몸이다.” 는 명제를 제시하였다.






셋째, 주자의 卽物而窮基理에 대신하여 “내 마음의 良知를 구현하라.”는 명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心’의 본체 및 수행에 관한 선불교 理論(이론)은 여전히 china인의 사상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전습록은 왕양명(1472~1529)의 어록과 그가 제자 및 당시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를 모아놓은 책으로 왕양명의 학문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책이다.” 따라서 “大同을 실현하라.”는 명제를 제시하였다.
이상 네 가지 명제 중 50세에 江右에서 제시한 致良知는 그의 학설의 結論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것은 궁극적으로는 대동사회의 실현을 goal(목표) 로 하는 것이었다.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배울-2788_01.jpg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배울-2788_02_.jpg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배울-2788_03_.jpg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배울-2788_04_.jpg 전습록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배울-2788_05_.jpg




유학자로서 왕양명의 학문적 노선은 宋代 新儒學의 두 갈래 중 程伊川, 주희의 <이학>과 대조를 程明道, 육상산의 <心學>의 편에 있다 그는 聖學, 즉 유학을 心學이라고 규정하였다.
양명학의 철학사상은 다음 네 가지 명제로 압축된다된다. ‘傳習’이란 말은 <논어>의 ‘경전을 익혔는가?’에서 딴 말이다. 그는 유학의 道統이된 嘵․ 舜․ 禹로부터 孔子로 계승되고 曾子로 이어졌으며, 다시 孟子와 朱子, 정명도, 육상산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전체 7,72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un.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