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n.kr [A+] 공공도서관 건축계획 사례 - 인천광역시 연수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 > bun4 | bun.kr report

[A+] 공공도서관 건축계획 사례 - 인천광역시 연수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 > bun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un4

[A+] 공공도서관 건축계획 사례 - 인천광역시 연수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9:39

본문




Download : [A+] 공공도서관 건축계획 사례 - 인천광역시 연수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hwp





이에 따라 인천시에서는 건축연면적이 4,232㎡(1,280평, 지상3층. 지하1층)규모의 연수 도서관에 대한 공청회를 2001년 2월 실시하고 9월까지 도서관 기본 및 실시 설계용역 수행을 한 후 10월부터 공사착공을 해서 2003년 10월에 준공할 예정에 있다
연수도서관이 주민들의 강한 설립 요구에 의하여 결실을 맺어 신설되는 도서관인만큼 지역주민들의 관심과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인천광역시에서도 주민들의 요구와 도서관 현장인들의 제안을 적극 수렴하여 도서를 위주로 한 reference(자료)수집 및 보관, 이용자에의 제공을 주기능으로 운영해 온 기존 공공도서관을 탈피하여 21世紀를 살아가는 …(省略)


,공학기술,레포트


공공도서관건축계획사례
설명



[A+] 공공도서관 건축계획 사례 - 인천광역시 연수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






다.

공공도서관의 공간을 이해하고, 현대적 의미의 도서관 기능에 적합한 도서관 공간 구성 및 21세기 지식정보 정보화 사회에 공공도서관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건축상을 제시하였기에 이를 살펴보고 연수도서관의 실제 건축계획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들어가며

2. 공공도서관의 건축공간에 관한 제언
2.1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의 變化요인과 양상
2.2 공공도서관 건축의 계획
2.3 구성요소별 부분의 유의점

3. 연수도서관 건축 事例
3.1 용역보고회의 조치사항
3.2 설계개념(槪念)
3.3 건축설계 개요
3.4 건축구조 계획
3.5 연수도서관의 공간구성

4. 맺으면서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설립예정인 연수도서관이 1999년 5월 지역주민들의 도서관 건립운동에 따라 10월 구립도서관 건립계획으로 수립되었으나 시립도서관으로의 건립요구에 의하여 2000년 10월 시립도서관 건립계획이 확정된 후 도서관 건립사업 업무가 종합건설본부로 이관되었으며 문화관광부의 도서관 건립을 위한 현지조사가 실시되고 몇 order (차례) 의 도서관 부지에 대한 심의를 거쳐 11월부지 면적이 6,354㎡(1,925평)인 영남공원을 도서관 부지로 결정하였다.공공도서관건축계획사례 , [A+] 공공도서관 건축계획 사례 - 인천광역시 연수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A+] 공공도서관 건축계획 사례 - 인천광역시 연수도서관 건축을 중심으로.hwp( 82 )


순서


공공도서관의 공간을 이해하고, 현대적 의미의 도서관 기능에 적합한 도서관 공간 구성 및 21 세기(世紀) 지식정보 정보화 사회에 공공도서관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건축상을 제시하였기에 이를 살펴보고 연수도서관의 실제 건축계획 사례를 紹介하고자 한다.
전체 7,60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un.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