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文化(culture) 와 다도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02:16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hwp
그는 호조좌랑, 황해감사, 대사헌, 병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관장하면서 그야말로 경세치민의 본분을 다하고자 노력했던 대표적 인물이다.
즉, 선비가 되기 위한 처세훈이다. 구용구사(九容九思)란 학문에 입문하는 이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42세, 1577년(선조 10년)에 편찬한 책인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제3장 지신(持身)에서 나오는 말이다. 이는 걸음걸이를 침착하게 하고 경솔하게 발 걸음을 하지 말라는 것이요, 장자 앞에서 걸을 때는 이에 구…(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 ,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구용구사 해석 예문화와 다도학
사회과학,구용구사,해석,예문화와,다도학,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사회과학]구용구사의%20해석%20-%20예문화와%20다도학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C%EC%9A%A9%EA%B5%AC%EC%82%AC%EC%9D%98%20%ED%95%B4%EC%84%9D%20-%20%EC%98%88%EB%AC%B8%ED%99%94%EC%99%80%20%EB%8B%A4%EB%8F%84%ED%95%99_hwp_01.gif)
![[사회과학]구용구사의%20해석%20-%20예문화와%20다도학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C%EC%9A%A9%EA%B5%AC%EC%82%AC%EC%9D%98%20%ED%95%B4%EC%84%9D%20-%20%EC%98%88%EB%AC%B8%ED%99%94%EC%99%80%20%EB%8B%A4%EB%8F%84%ED%95%99_hwp_02.gif)
![[사회과학]구용구사의%20해석%20-%20예문화와%20다도학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C%EC%9A%A9%EA%B5%AC%EC%82%AC%EC%9D%98%20%ED%95%B4%EC%84%9D%20-%20%EC%98%88%EB%AC%B8%ED%99%94%EC%99%80%20%EB%8B%A4%EB%8F%84%ED%95%99_hwp_03.gif)
![[사회과학]구용구사의%20해석%20-%20예문화와%20다도학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C%EC%9A%A9%EA%B5%AC%EC%82%AC%EC%9D%98%20%ED%95%B4%EC%84%9D%20-%20%EC%98%88%EB%AC%B8%ED%99%94%EC%99%80%20%EB%8B%A4%EB%8F%84%ED%95%99_hwp_04.gif)
Download :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hwp( 44 )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文化(culture) 와 다도학
순서
다. 그에게 있어 학문이란 자기 자신을 닦고 타인을 다스리는 이른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방법을 통하여 하늘과 사람이 하나가 되는 경지에 이르는 길 이었다. 몸과 마음을 닦기를 강조했던 참된 유학자 율곡은 참된 선비란 나아가서는 한 시대에 도(道)를 행하여 백성으로 하여금 태평(太平)을 누리게 하고, 물러가서는 만세(萬世)에 교화(敎化)를 베풀어 배우는 자로 하여금 큰 잠에서 깨어나게 하는 사람이라고 했고, 그 스스로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실천했다. 그는 군자(君子)를 지향함은 물론이고, 그 시대에 필요한 인물이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또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은 한국 여성의 사표로서 추앙받는 인물로 이런 어머니 밑에서 자란 그는 어릴 때부터 비범한 재능을 선보이는 신동이기도 했다.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文化(culture) 와 다도학
구용구사의 해석
- 예文化(문화)와 다도학 -
1. 구용구사(九容九思)의 어원
십만양병설로 유명한 학자 율곡 이이는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뛰어난 학자이자 정치가였다. 이 글에서 필자는 참된 유학자로서 율곡의 모습과 아울러 국방의 총 책임자이자 나라의 未來(미래)를 대비하는 선견지명을 지녔던 그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2. 구용구사(九容九思)의 해석
1) 구용(九容)
: 우리 몸에 대한 태도를 바르게 하여 행하라는 가르침.
① 족용중(足容重) : 발을 무겁게 하라. 처신을 가볍게 하지 말라.
<풀이> 발을 움직임에 있어서 무겁게 하고, 가볍게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