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당] 다산 정약용에 관한 intro 와 나의 편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20:49
본문
Download : [여유당] 다산 정약용에 관한 소개와 나의 편견.hwp
[여유당] 다산 정약용에 관한 intro 와 나의 편견
유용하게 쓰세요...^^*
레포트/법학행정
[여유당]다산정약용에
설명
●정약용 (丁若鏞, 다산, 여유당, 1762-1836)
●목민심서(牧民心書)
<정약용에 대한 나의 편견>
●정약용 (丁若鏞, 다산, 여유당, 1762-1836)
본관 나주(羅州), 사람 조선 후기 대실학자
이승훈의 처남, 경기도 광주(廣州) 출신
정약용의 둘째 형 <정약전>, 셋째 형 <정약종>
유형원, 이익의 실학을 계승, 집대성함.
벼슬은 정조 때 동부승지, 병조참의 역임
신유박해와 황사영(조카 사위)의 백서(帛書) 사건에 관련, 전라도 강진으로 귀양갔다가 19년 만에 유배에서 풀려남. 이곳에서 500여 권의 저술 활동을 벌인 결과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라는 이름으로 전해짐
저서 : [목민심서(牧民心書)], [마과회통(麻科會通)], [흠흠신서], [경세유표(經世遺表)] 등
●목민심서(牧民心書)
조선 순조 18년(1818), 전남 강진의 유배지에서 저술
(순조 11년(1801) 황사영의 백서사건이 일어나자 체포되어 강진으로 유배, 순조 18년 방면될 때까지 18년 동안 귀양살이 하면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아언각비> 등 이른 바 <여유당 전서>라는 대저서를 저술함)
`국가가 존립하고 정치가 행해지는 목적은 어디까지나 국민들을 잘 살 게 하는 데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니 만일 국민이 못살 게 된다면 국가나 정치는 곧 그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율기편에서는 위엄과 신의로써 관속을 통솔하며 염결과 공정이라는 이도(吏道)정신에 입각하여 정사에 임할 것을 제시하고 있으니 목민관은 행정에 임하기 앞서 몸가짐부터 바르게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이전에서도 관속을 통솔하는 근본은 무엇보다도 몸가짐을 바르게 하는 데에 있음을 거듭 천명하…(drop)
유용하게 쓰세요...^^*[여유당]다산정약용에 , [여유당] 다산 정약용에 관한 소개와 나의 편견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여유당] 다산 정약용에 관한 소개와 나의 편견.hwp( 52 )
,법학행정,레포트
순서
![[여유당]%20다산%20정약용에%20관한%20소개와%20나의%20편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7%AC%EC%9C%A0%EB%8B%B9%5D%20%EB%8B%A4%EC%82%B0%20%EC%A0%95%EC%95%BD%EC%9A%A9%EC%97%90%20%EA%B4%80%ED%95%9C%20%EC%86%8C%EA%B0%9C%EC%99%80%20%EB%82%98%EC%9D%98%20%ED%8E%B8%EA%B2%AC_hwp_01.gif)
![[여유당]%20다산%20정약용에%20관한%20소개와%20나의%20편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7%AC%EC%9C%A0%EB%8B%B9%5D%20%EB%8B%A4%EC%82%B0%20%EC%A0%95%EC%95%BD%EC%9A%A9%EC%97%90%20%EA%B4%80%ED%95%9C%20%EC%86%8C%EA%B0%9C%EC%99%80%20%EB%82%98%EC%9D%98%20%ED%8E%B8%EA%B2%AC_hwp_02.gif)
![[여유당]%20다산%20정약용에%20관한%20소개와%20나의%20편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7%AC%EC%9C%A0%EB%8B%B9%5D%20%EB%8B%A4%EC%82%B0%20%EC%A0%95%EC%95%BD%EC%9A%A9%EC%97%90%20%EA%B4%80%ED%95%9C%20%EC%86%8C%EA%B0%9C%EC%99%80%20%EB%82%98%EC%9D%98%20%ED%8E%B8%EA%B2%AC_hwp_03.gif)
다.`
1. 부임(赴任) 2. 율기(律己) 3. 봉공(奉公) 4. 애민(愛民) 5. 이전(吏典) 6. 호전(戶典)
7. 예전(禮典) 8. 병전(兵典) 9. 형전(刑典) 10. 공전(工典) 11. 진황(賑荒) 12. 해관(解官)
12강(綱)으로 크게 구분되고 이것을 또 다시 각각 6조씩 세분하여 전체가 12강 72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목민관의 생활을 총 망라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