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장애의 치료교육 (실습체험과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22:44본문
Download : 학습장애의 치료교육 (실습체험과 비교).hwp
따라서 학습장애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학습장애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자기가 하고 싶어서 공부를 한다면 당연히 학업성취도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
그 동안 학습장애아동에 대해 다양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근래에 학습장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 시작하였으므로 학습장애아동들의 원인, 진단 및 평가에 대한 체계적 연구 및 실행이 부족한 상태에 있으며, 특히 이들에 대한 교육은 아직도 대부분 방치된 상태에 놓여 있고 수많은 학습장애아들은 적절한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습장애와치료교육
Download : 학습장애의 치료교육 (실습체험과 비교).hwp( 67 )
순서
§ 서 론 §
1. 지 능
2. 학습동기
3. 정서불안
4. 주의집중의 장애
5. 학습방략과 습관
6. 학습장애
§ 본 론 §
【 학습장애 사례(instance) 】
1. 학습의욕 상실
2. 주의산만
3. 왕따 현상
Ⅰ. 학습장애의 정의(定義)
Ⅱ. 학습 장애의 하위 유형
(1) 읽기 장애
(2) 쓰기 장애
(3) 산수 장애
Ⅲ. 학습장애의 Cause
⑴ 생리적 요인
⑵ 유전적 요인
⑶ 생화학적 요인
⑷ 정보처리 과정 요인
⑸ 처리해야할문제 및 環境요인
Ⅳ. 조기발견의 중요성
Ⅴ. 빈번하게 나타나는 학습장애의 特性
⑴ 방향의 혼동
⑵ 순서 및 계열화의 곤란성
⑶ 셈하기 곤란
⑷ 주의집중 곤란
⑸ 사회적 지각곤란
⑹ 정서문제
Ⅵ. 학습장애 평가
⑴ 평가資料 수집 방법
Ⅶ. 학습장애의 치료
⑴ 계열화의 곤란성에 대한 치료
⑵ 수학 장애 치료
⑶ 주의집중 곤란의 치료 (지도 방법)
⑷ 사회적 지각곤란의 치료
Ⅷ. 정서장애아동의 치료
⑴ 행동수정을 통한 지도
⑵ 놀이를 통한 지도
⑶ 음악을 통한 지도
⑷ 묘화 요법
⑸ 정서 발달 지도
⑹ 정서 장애아동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세
Ⅸ. 학습장애 아동과 가족
⑴ 가족 스트레스의 발생Cause
⑵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부모의 적응 단계
⑶ 학습장애 아동의 부모와 가족의 반응
Ⅹ. 치료대책
⑴ 치료목표(目標)
⑵ 상담 및 심리치료
Ⅺ. 예방책
⑴ 학교의 처리해야할문제
⑵ 교사교육
§ 결 론 §
같은 학교, 같은 학급에서 같은 선생님의 수업을 들음에도 불구하고 각각 학생들의 학습수준이나 학습태도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아 이것은 지난 한달간 나의 교생실습에서도 쉽게 느낄 수 있는 세삼스런 나의 의문이었다. 공부도 마찬가지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지능 검사는 平均(평균)을 100으로 하고 있다아 즉, 지능지수가 100점이라면 平均(평균)적인 학습 능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이하면 다른 아이들에 비해 학업 능력이 떨어지고, 그 이상이라면 平均(평균)보다 높은 학업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아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지능검사를 실시했다고 해서 그 결과가 반드시 신뢰롭고 타당하다고 할 수는 없다는 점이다.
반복적으로 좌절감을 느끼고 부모님이나 교사로부터 혹은 친구들로부터 공공연하게 `공부 못하는 아이`로 낙인이 찍히는 경험을 하게 되면 의욕을 잃고 무력해하게 된다 대부분의 부모들이 잘한 것에 대한 칭찬에는 인색하고 못한 것에만 야단치고 비난하는 경향이 있다아 이런 부모님들의 행동은 아이들로 하여금 점점 더 자신감을 저하시키고 다시 처음 할 수 있는 의욕을 상실…(drop)
그 동안 학습장애아동에 대해 다양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근래에 학습장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 스타트하였으므로 학습장애아동들의 原因, 진단 및 평가에 대한 체계적 연구 및 실행이 부족한 상태에 있으며, 특히 이들에 대한 교육은 아직도 대부분 방치된 상태에 놓여 있고 수많은 학습장애아들은 적절한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학습동기
하고 싶은 일을 할 때에는 신이 나고 신이 나서 하면 잘 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학습에 effect을 주는 요소는 다음의 6가지로 나눌 수 있다아
1. 지 능
지능지수(IQ)라는 것은 학생이 학습에서 어느 정도의 잠재력을 갖고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되며, 여러 가지 지적인 능력들 중 강점과 취약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학습장애와치료교육 , 학습장애의 치료교육 (실습체험과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학습장애의 치료교육 (실습체험과 비교)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신뢰성 있고 타당한 지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1) 표준화와 타당화 과정을 거친 지능 검사를 2) 충분한 훈련과 경험을 쌓은 전문가가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심리학회에서 이런 전문가들에게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을 주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고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